ㆍ작성일 :
21-11-15 15:18
"설마 나도?"… 치매 검사 '이럴 때' 받아라 | |
---|---|
글쓴이 : 관리자 | 조회 : 3,413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11/10/2021111000951.… [1847] | |
치매는 콜린분해효소 억제제나 아밀로이드단백의 침착을 막아주는 약물 치료 등을 일찍 시작할수록 진행 속도가 늦어진다. 치매 위험 요인이 있는 사람은 조기 발견을 위해 65세 이후부터 2년에 한 번씩 간이 검사를 받는 게 좋다.
◇건망증 있으면 간이 검사를 치매는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고, 가족력도 5~10% 이내이다. 65세 이후부터 유병률이 빠르게 올라가므로, 이때부터는 누구나 조심해야 한다. 보건소에서는 치매 간이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일정한 점수에 따라 진단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환경적 요인 등을 두루 고려해서 치매 가능성을 판단한다. 65세 전후로 건망증이 심해졌거나 우울증이 지속되는 사람이라면 간이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건망증이 반복되면 경도인지장애를 의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0~15%가 치매로 이어진다. 5년 이상 지속되는 만성 우울증도 치매에 영향을 준다. 간이 검사 등에서 치매가 의심되면 추가 검사를 권한다. 이때는 병원에서 신경심리검사, MRI(자기공명영상), PET-CT(양전자방출단층촬영) 검사 등을 받아 치매를 확진할 수 있다. ◇젊은 층은 혈관성 치매 조심 치매는 나이가 가장 큰 위험 인자이지만, 젊은층도 걸릴 수 있다. 60세 이전에 발생하는 치매는 유전적 요인이 강하며, 국내 유병률을 집계하지 못할 정도로 드물기 때문에 일반인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60대 이하는 이보다 뇌졸중 등이 유발하는 혈관성 치매를 조심해야 한다. 이때는 기억력 장애보다 신체를 움직이는 행동 능력부터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 혈관성 치매의 위험 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운동부족, 비만 등은 흔하므로, 평소 종합적인 건강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