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비쥬얼

이미지Home › 알기쉬운 치매정보 › 치매관련정보

치매관련정보

작성일 : 21-03-05 14:31
게시판 view 페이지
"심한 잠꼬대, 치매 전조증상일 수 있어요"
글쓴이 : 관리자 조회 : 4,302
첨부파일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1/03/03/2021030302373.… [2354]
65세 이상 국내 치매 환자는 75만 명으로 유병률이 10%를 조금 넘는다.(대한민국 치매현황 2019 보고서)

65세 이상 노인 10명 중 1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80대 중반이 되면 절반 정도가 치매 진단 가능성이 있다는 보고도 있다. 급격한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2024년 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뇌병원 신경과 송인욱 교수는 “치매 환자는 뇌에 특정한 독성 단백질(아밀로이드, 타우 등)이 쌓이거나 혈액 공급에 문제가 생겨 뇌가 손상되는 경우가 많다”며 “그 영향으로 기억장애 등 인지기능장애가 나타나고 경우에 따라 이상행동이나 시공간 장애, 망상, 환시 같은 환각, 공격적인 행동 등이 동반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치매 가장 흔한 증상은 기억력 저하

치매의 가장 흔한 증상은 기억력 저하다. 치매 환자의 기억장애 정도를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는 예전 일은 잘 기억하는데 최근 일은 제대로 기억 못 하는 등의 최근기억장애에 있다. 최근기억장애가 나타나는 이유는 치매 환자의 뇌가 새로운 정보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기능의 손상이 심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기억장애만으로 치매를 진단하지는 않는다. 송인욱 교수는 “사람의 인지기능은 기억력 외에도 집중력, 판단력, 언어능력, 시공간능력 등이 있는데 치매 환자의 인지장애는 다발성 인지장애로 기억장애 외에 집중력, 언어능력, 판단력, 시공간능력 등의 다른 장애로 발현되는 경우도 많다”며 “이러한 장애가 평소 혼자서도 잘하던 전화 걸기, 대중교통 이용하기, 씻기 등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지장을 줘야 비로소 치매로 진단할 수 있다”고 했다.

◇ 심한 잠꼬대는 치매 위험신호일 수도

무심코 넘기기 쉬운 잠꼬대도 치매의 전조증상일 수 있다. 잠을 자면서 웅얼웅얼 혼잣말을 하거나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또 잠꼬대와 함께 몸을 뒤척이다가 팔과 다리를 허우적대며 몸을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도 있다.

이때 함께 자던 사람은 깜짝 놀라기도 하고 대화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자주 나타나는 심한 잠꼬대는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특히 노인에서는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의 위험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 실제 노인의 잠꼬대는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의 전조증상이라는 연구결과도 있다. 캐나다 맥길대학교가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를 12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약 절반에서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 증세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면서 거친 말, 욕설, 소리 지름 등 잠꼬대를 심하게 한다거나, 심한 잠꼬대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반복되고, 손을 허우적대고 발길질을 하는 등 심한 행동을 한다면 노인성 잠꼬대(렘수면 행동장애)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송인욱 교수는 “우리가 꿈을 꿀 때 뇌는 활성화되지만 팔다리 근육은 일시적으로 마비돼 꿈에서 나타나는 형상이 실제화하지 않도록 하고 우리 몸을 보호한다”며 “반면 렘수면 행동장애가 있으면 꿈을 꿀 때 근육이 마비되지 않아 꿈에서 나타나는 대로 팔다리를 움직이게 되는데 이는 근육을 마비시키는 뇌 부위에 이상이 생겼다는 것을 뜻하고,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의 전조증상으로 볼 수도 있다”고 했다.

◇ 전기자극치료 등 新치료법 연구, 치매 극복 기대감 ‘쑥쑥’

치매는 각각의 진단에 따라 약물선택이나 전반적인 치료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그에 맞는 적절한 약물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치료가 가능한 치매도 있다. 치매 원인 중 신경퇴행성질환 외에 뇌염이나 수두증, 뇌병증, 또는 약물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치매의 경우 적절한 치료로 치매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최근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인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치매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의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약물치료 외에도 전기자극치료와 초음파 자극 등 비침습성 뇌자극술로 치매와 같은 퇴행성질환의 치료에 많은 기대감을 낳고 있다.

송인욱 교수는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면과 식생활을 규칙적으로 하고 친근한 환경과 사람들 사이에서 레저 활동이나 취미활동 등 외부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아울러 병원 주치의를 통한 적절한 치료와 함께 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치매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인자를 적절하게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